history

모세의 여인들의 고향 구스족과 미디안족에 관하여

마크부스 2024. 9. 6. 15:12

모세는 이집트 왕자로 살다가 살인하여 미디안 땅으로 도망가서 정착하면서 아내 십보라를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이집트 땅으로 돌아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시내산 광야를 떠나다 에티오피아 출신의 아내를 맞이합니다. 구스족 여인에 대한 언급이 자세히 나와있지는 않지만 미디안족과 구스족의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미디안족에 관하여

 

미디안족은 창세기 25장 아브라함이 사라의 죽음 후 그두라를 아내로 삼고 낳은 후손에 속합니다. 미디안(Midianites)은 성경에서 아라비아 반도 북서부와 시나이 반도에 거주했던 유목 민족으로 묘사됩니다. 미디안 사람들은 아브라함의 아내 그두라에게서 태어난 자손으로 아브라함의 후손에 속합니다. 아브라함의 후손임에도 미디안 사람들은 성경에서 이방인으로 취급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과는 구별된 민족으로 등장합니다. 뭐가 이리 복잡한지 혈통의 연관성이 있음에도 이스라엘 일원이 아닌 별도의 이방인으로 인식된 점이 인상적입니다.

 

 

미디안족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때로는 우호적이었지만, 대부분 갈등이거나 적대적이었습니다. 아마도 모세가 미디안 출신 아내 십보라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고 사는 동안은 당연히 우호적이었을 텐데요. 민수기 25장을 넘어서면서부터는 미디안 사람들이 이스라엘 백성을 우상 숭배와 음행으로 유혹하며 훗날에도 미디안족이 이스라엘 민족을 억압하면서 적대적 관계로 돌아섭니다. 아무래도 유일신을 섬기는 이스라엘 백성과 달리 미디안족은 다른 신을 섬긴 탓이 큰 것 같습니다.

 

 구스족에 관하여

 

구스 혹은 쿠시(Cush)는 성경에서 주로 아프리카 동북부에 위치한 민족을 지칭합니다. 구스는 나일강 상류, 현대의 수단과 에티오피아 지역에 해당합니다. 이들은 아프리카 문명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성경에서 저주받은 함의 후손으로 등장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창세기 10장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고요. 

 

 

성경에 구스 여인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모세와 둘 사이에 자식이 있는지 여부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 두 번째 아내로 맞이한 것인지 그냥 하룻밤 데리고 논 것인지도 알 길이 없는데요. 구스족은 아프리카의 문화적 영향을 받은 반면 미디안족은 엄연히 아브라함 족의 후손으로 중동 지역의 유목 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모세 입장에서는 거기가 거기로 보였을 수도 있지만 모세의 형제 미리암과 아론 입장에서는 엄연히 다른 종족이라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구스족과 미디안족의 차이점

 

구스족과 미디안족은 서로 다른 대륙과 지역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구스족은 아프리카의 문화적 영향을 받은 반면, 미디안족은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중동 지역의 유목 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경에서 구스족은 용맹한 전사 민족으로 언급되며 이집트 남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미디안족은 모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출애굽기에서 모세의 도피와 결혼 그리고 하나님이 모세에게 나타난 불타는 떨기나무 사건은 바로 미디안 땅에서 일어났습니다.

반응형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교와 기독교의 오순절의 의미와 차이에 관하여  (0) 2025.01.29
페르시아에 관하여  (1) 2024.05.02